"스마트 건설, 정부 지원 정책 '도입' 우선돼야"
"스마트 건설, 정부 지원 정책 '도입' 우선돼야"
  • 이소현 기자
  • 승인 2019.11.12 16: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술 인지도 제고·대중소기업 격차 해소 필요성 제기
패키지 소프트웨어 성장 따른 '스타트업 활성화' 요구
공공주택 외 '중장기적 모듈러 건설 전략 수립' 주장도
12일 서울시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진행된 '스마트 건설 생태계 구축을 위한 혁신 전략 모색' 세미나에서 손태흥 미래기술전략연구실장이 스마트 건설기술 활용 실태와 기술 전략 방향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이소현 기자)
12일 서울시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진행된 '스마트 건설 생태계 구축을 위한 혁신 전략 모색' 세미나에서 손태흥 건산연 미래기술전략연구실장이 스마트 건설기술 활용 실태와 기술 전략 방향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이소현 기자)

건산연이 스마트 건설 활성화를 위해서는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정부의 지원 정책이 선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스마트 건설기술의 인지도가 낮아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기술 격차가 있는 데다, 법·제도적 규제 등으로 인해 건설산업 스마트 기술 발전이 미진하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건산연은 신성장 분야인 패키지 소프트웨어 관련 스타트업을 활성화하고, 7대 스마트 건설기술 중 하나인 모듈러 건설에 대한 중장기적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하 건산연, 원장 이상호)은 서울시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스마트 건설 생태계 구축을 위한 혁신 전략 모색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날 세미나는 건산연 연구위원 3명의 주제발표와 토론 순으로 진행됐다. 먼저, 손태흥 건산연 미래기술전략연구실장이 '스마트 건설기술 활용 실태와 기술 전략 방향'을 주제로 발표하고, 이어 이광표·박희대 건산연 부연구위원이 각각 '건설 소프트웨어 산업과 스타트업 활성화 방향'과 '모듈러 건설과 기업 비즈니스 모델'에 대해 얘기했다.

손 실장은 국내 건설기업을 대상으로 대표적인 7대 스마트 건설기술의 인지도를 조사한 결과, 스마트 건설기술에 대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기술 격차가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7대 스마트 건설기술로는 BIM을 비롯해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드론 △모듈러 △3D프린팅 △증강 및 가상현실 △지능형 건설장비 및 로봇기술 등이 있다.

건산연은 201개 건설기업을 대상으로 7대 건설기술 인지도를 비롯해 △활용도 △활성화 전망 △전담조직 운영 여부 △인력 양성 방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종합-대형 건설기업은 기술에 대한 인지도와 활용 수준이 높은 데 비해, 중견 및 중소 건설기업과 전문건설기업은 이에 대해 잘 모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BIM의 경우 201개 기업 중 29.4%가 모른다고 응답했으며, 55.2%는 해당 기술을 사업에 전혀 활용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손 실장은 "기업은 규모와 업종에 따른 차별화된 기술전략의 수립과 시행이 필요하며, 정부 또한 기업 간 차이를 고려해 세분화되고 차별화된 지원 정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두 번째 발표자인 이광표 부연구위원은 건설산업 스마트화를 위해서는 건설 소프트웨어 산업 중요성을 인식하고, 스타트업 육성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현재 패키지 소프트웨어 내 건설분야 비중은 국내 1.1% 및 세계 1.2% 수준으로 매우 낮은 수준이다. 그러나 건설 소프트웨어의 국내 예상 CAGR(연평균 복합 성장률)은 4.3%로, 높은 성장가능성을 지닌 산업 분야로 평가받고 있다.

이 부연구위원은 "스마트 기술에 기반한 건설 소프트웨어 산업은 산업 간 융합이자 신생 산업 분야로, 지원과 육성을 통해 산업 내로 정착시키는 것이 우선돼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정부-산업-기업이 연계된 건설 스타트업 생태계를 조성해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투자 부족이나 법·제도적 규제, 건설산업 특성이 반영되지 않은 창업 지원, 스타트업 참여가 어려운 연구개발(R&D) 환경 등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마지막 발표자인 박희대 부연구위원은 7대 건설기술 중 하나인 '모듈러 건설'에 대한 중장기적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모듈러 건설은 공장에서 제작한 패널과 블록형 구조체 등을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현장 투입인력을 줄이고 공기를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국내에서도 최근 모듈러 건설이 다시 각광받으면서 LH(한국토지주택공사) 등에서 공공주택을 대상으로 모듈러 주택을 도입하고 있지만, 값싼 이미지와 설계기준 미비, 비즈니스 모델 불명확 등의 이유로 아직까지 정착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박 부연구위원의 설명이다.

박 부연구위원은 "모듈러 건설은 건설산업의 생산성 향상과 조달과정 혁신을 위해 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대안 중 하나지만, 우리 건설산업이 처한 기술자 고령화와 청년유입 감소, 생산성 침체 등을 고려하면 중장기적으로 산업이 지향해야 할 방향"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재 국내에서 모듈러 건설은 블록형 구조체를 활용한 공동주택 부문에만 집중돼 있다"며 "산업 모듈러 전환을 위해 국가 차원의 중장기적 전략수립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신아일보] 이소현 기자

sohyun@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