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단체 "돼지열병 일방적 살처분 중단, 멧돼지 방역 우선"
축산단체 "돼지열병 일방적 살처분 중단, 멧돼지 방역 우선"
  • 박성은 기자
  • 승인 2019.10.17 15: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축단협·농축산연합회 국회서 기자회견
정부 시·군단위 집돼지 살처분 멈추고
야생멧돼지 관리·감독 특단 대책 요구
수용 불가할 경우 대규모 집회 예고
10월17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축단협·농축산연합회 등 농축산단체 관계자들이 아프리카돼지열병 시·군단위 일괄 살처분 반대 및 야생멧돼지 특단조치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사진=축산관련단체협의회)
10월17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축단협·농축산연합회 등 농축산단체 관계자들이 아프리카돼지열병 시·군단위 일괄 살처분 반대 및 야생멧돼지 특단조치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사진=축산관련단체협의회)

축산단체들이 ‘아프리카돼지열병(African Swine Fever, ASF)’에 따른 정부의 일방적인 살처분 정책에 강력하게 비판하고, 주 감염원인으로 꼽히는 멧돼지의 엄격한 관리 등 특단의 대책을 적극 요구했다.

축산관련단체협의회(회장 김홍길·이하 축단협)와 한국농축산연합회(회장 임영호)는 17일 국회 정문 앞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시·군단위 일괄 살처분 반대 및 야생멧돼지 특단조치 촉구’를 위한 기자회견을 열었다.

기자회견에는 임영호 농축산연합회장과 김홍길 축단협 회장, 하태식 대한한돈협회장, 이승호 낙농육우협회장, 이홍재 대한양계협회장 등 여러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앞서 축단협과 농축산연합회는 돼지열병 발병 전부터 야생멧돼지에 대한 사전 방역대책을 요구하면서, 개체수 조절과 관리를 수차례 요구한 바 있다.

그러나 환경부 등 정부는 최근까지 야생멧돼지에 따른 ASF 전파 가능성을 낮게 보고, 관련 방역대책도 부실했다는 게 축산단체의 주장이다.

더욱이 이달 들어서 비무장지대(DMZ)와 민통선 이남까지 일곱 건의 야생멧돼지 폐사체에서 ASF 바이러스 양성 반응이 확인되며, 정황상 멧돼지가 가장 유력한 돼지열병의 발생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또, 정부는 돼지열병 확산 차단 차원에서 발생지역인 경기도 파주, 김포와 인천 강화에 이어 연천까지 모든 집돼지를 살처분하려는 상황이다. 축산단체는 지금의 정부의 방역정책 방향은 더 이상 집돼지 살처분이 아닌 야생멧돼지 관리가 우선이라며 특단의 대책을 요구했다.

김홍길 축단협 회장은 “정부의 비과학적인 방역대책을 참지 못해 결국 거리로 나오게 됐다”며 “한돈농가의 고통을 제대로 읽지 못하는 정부는 지금이라도 생산자단체인 한돈협회의 의견을 수용해 합당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임영호 농축산연합회 회장도 “이전부터 농가들은 멧돼지 개체수 조절을 요구했으나 환경부가 이를 묵살했다”며 “이에 대한 응당의 책임을 져야 한다”고 비판했다.

축산단체들은 정부의 과도한 살처분 정책으로 농가들은 앞으로 재입식(돼지를 다시 들임)도 엄두를 못 내고 있고 폐업에 준하는 피해를 일방적으로 받고 있지만, 제대로 된 보상조차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때문에 살처분 반경 범위인 500미터(m)를 넘어 시·군 단위로 이뤄지는 정부의 집돼지 말살정책을 받아들일 수 없고, 근본 원인으로 지적되는 야생멧돼지에 대한 특단의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축단협과 농축산연합회는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긴급행동지침(SOP) 규정 정책 시행 ▲살처분 피해농가에 대한 합리적 보상책 마련과 재입식 약속 선행 ▲환경부의 야생멧돼지 발생 책임과 포획 사살 시행 등을 요구했다.

또, 최대 양돈 생산자단체인 대한한돈협회는 정부가 농가 의견을 배제하고, 지금의 방역정책을 그대로 강행할 경우 대규모 집회에 열겠다고 예고했다.

하태식 한돈협회 회장은 “야생멧돼지에 대한 특단의 조치 없이 살처분 이후 합리적인 보상책과 재입식 약속 등을 이행하지 않는다면, 한돈협회는 전국의 양돈농가들과 집회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parkse@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