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일로…방어선 구축 '총력'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일로…방어선 구축 '총력'
  • 박성은 기자
  • 승인 2019.09.25 16: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강화·연천 의심축 신고 잇달아…살처분 대상 5만두 '훌쩍'
정부, 전국 '일시이동중지' 명령·중점관리지역 47개 시군 확대
靑 TF 꾸려 대응방향 점검, 행안부 특별교부세 추가 지원
국내에서 다섯번째로 돼지열병 확진 판정을 받은 강화 송해면 양돈농장 입구에 외부인 출입을 금지하는 바리케이드가 설치됐다. (사진=연합뉴스)
국내에서 다섯번째로 돼지열병 확진 판정을 받은 강화 송해면 양돈농장 입구에 외부인 출입을 금지하는 바리케이드가 설치됐다.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확산 일로로 치닫고 있는 ‘아프리카돼지열병(African Swine Fever, ASF)’ 차단 방역 수준을 한층 강화했다.

이를 위해 전국의 모든 돼지농장·출입차량 등을 대상으로 일시이동중지(스탠드스틸·Standstill) 명령을 발령했고, 중점관리지역도 경기·강원·인천 47개 시군으로 확대하는 등 방어선 구축에 총력을 쏟고 있다. 청와대도 별도의 관련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돼지열병 대응에 나선 상황이다.

25일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와 양돈업계에 따르면 인천 강화군 송해면에서 의심축 신고가 접수됐던 돼지농장에서도 ASF 양성 반응으로 확인돼 총 5곳의 농장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이에 따라 돼지 살처분 대상 규모는 5만1000여두에 달한다.

그러나 이날 오후 3시 현재 강화군 불은면과 양도면, 경기도 연천군 미산면 등 세 곳의 양돈농가에서 의심축이 추가 신고돼 정밀검사가 진행 중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살처분 규모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돼지열병이 브레이크 없이 빠른 속도로 확산되면서, 농식품부가 24일 정오를 기점으로 전국의 돼지농장과 출입차량, 사료공장, 도축장 등을 대상으로 48시간 동안 스탠드스틸 발령 조치를 취했다. 그러나 추후 확산 상황에 따라 농식품부는 발령 시일을 연장하거나, 지역별 일시이동중지 연장을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경기·강원 6개 시군으로 한정했던 중점관리지역도 경기·강원·인천 전 지역으로 확대했다. 해당 지자체는 47개 시군에 이른다. 농식품부는 중점관리지역을 크게 경기북부(10개 시군), 강원북부(4개), 경기남부(20개), 강원남부(13개) 등 4대 권역으로 구분하고, 이들 지역을 중심으로 방역관리·점검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김현수 농식품부 장관이 2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돼지열병 방역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농식품부)
김현수 농식품부 장관이 2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돼지열병 방역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농식품부)

농식품부 관계자는 “전 지역에 발령한 스탠드스틸 기간 동안 양돈농가가 있는 154개 시군의 농장·축산시설을 대상으로 소독·생석회 도포 실태와 소독 이행 여부 등의 일제점검을 실시 중”이라며 “중점관리지역의 경우 3주 동안 4대 권역 간의 돼지와 가축분뇨 반·출입은 금지되고, 각 권역 내 지정도축장에서만 도축·출하해야 한다”고 말했다.

4대 권역에 해당되는 양돈농장은 타 지역으로의 돼지 반출은 전면 금지된다. 특히 도축장 출하는 반드시 수의사의 임상검사를 받은 후 출하승인서를 발급받아야만 가능하다.

아울러 정부와 지자체, 군(軍), 농협 등은 가용할 수 있는 소독차량을 총 동원해 전국의 6300여호 양돈농가에 소독제와 생석회를 공급한다. 중점관리지역은 최대 4배가량 많은 생석회를 제공한다.

김현수 농식품부 장관은 25일 관련 점검회의에서 “상황이 심각한 만큼 기존의 틀과 매뉴얼을 뛰어넘는 더욱 강화된 방역으로 돼지열병 확산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청와대도 돼지열병의 심각성을 받아들이고, 최근 관련 TF를 꾸려 매일 오전 동향 회의와 함께 수시로 상황을 보고받으며 대응 방향을 점검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행정안전부는 돼지열병 차단 방역을 위한 특별교부세 32억원을 추가로 지원했다. 해당지역은 김포와 포천, 동두천, 파주, 연천, 철원 등 6개 시군이다. 관련 특교세 지원은 지난 18일에 이어 두번째다.

parkse@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