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47년 총가구 줄고 1인 가구 크게 늘어”
“2047년 총가구 줄고 1인 가구 크게 늘어”
  • 이인아 기자
  • 승인 2019.09.18 14: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통계청, 장래가구특별추계 분석… 고령자 증가 주 요인
65세 이상 1인가구 2017년 134만여명… 2047년 405만여명
30년뒤 1인가구 급증. (사진=연합뉴스)
30년뒤 1인가구 급증. (사진=연합뉴스)

약 30년 뒤인 2047년에는 총가구는 줄고 1인 가구는 크게 증가할 것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017년 현재 1인 가구 비율은 28.5%나 2047년에는 37.3%로 비중이 늘어난다는 것이다. 

통계청은 18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17~2047년 장래가구특별추계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전국의 친족가구, 비친족 5인가구, 1인가구 등 일반가구들 대상으로 진행했으며 인구총조사, 인구동태통계, 장래인구추계 등 기초자료를 활용했다. 

가구란 1인 또는 2인 이상이 모여서 취사, 취침 등 생계를 같이하는 생활 단위를 일컫는다. 가구추계는 최근의 가구변동 추이가 미래에서 일정기간 지속된다는 가정이 실현됐을 때 예상되는 가구에 대한 전망치다. 

추계에 따르면 2017년 총가구는 1957만1000 가구며 2040년 2265만1000 가구까지 증가한 후 2047년에는 2230만3000 가구에 이를 전망이다. 2040년까지 가구수가 정점을 찍다가 이후부터는 감소해 2047년에는 0.36% 감소한다는 분석이다. 

평균 가구원 수도 2017년 2.48명에서 점차 줄어 2047년에는 2.03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파악됐다. 

2017년 가구 유형은 부부와 자녀로 구성된 가구가 31.4%로 가장 많았고 1인 가구가 28.5%, 부부 가구가 15.8%로 뒤를 이었다. 이러한 가구 유형이 2047년에는 1인 가구가 37.3%로 가장 많고 부부 가구(21.5%), 부부+자녀 가구(16.3%) 순으로 변화할 것으로 통계청은 봤다. 

가구원 수별 구성 비중은 2017년 1인 가구가 28.5%, 2인 가구가 26.7%, 3인 가구가 21.3%, 4인 가구가 17.7%였으나, 2047년에는 1인 가구가 37.3%로 크게 늘고 2인 가구도 35.0% 늘어난 반면 4인 가구는 7.0% 감소할 것으로 조사됐다. 

2017년 558만3000 가구인 1인 가구 비중이 2047년에는 832만 가구로 30년 새 273만7000 가구가 증가한다는 결과다.  

통계청은 2017년은 1인 가구 중 30대 이하 비중이 35.6%로 가장 높으나 2047년에는 70대 이상이 40.5%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봤다. 

전체 가구주 중에도 고령자가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가구주가 65세 이상인 고령자 가구는 2017년 399만8000가구(20.4%)에서 2047년 1105만8000가구(49.6%)로 2.8배 증가하며, 가구주 연령은 2017년 40대, 50대가 46.7%로 가장 많았으나 2047년에는 60대, 70대가 41.2%로 가장 많아질 것으로 점쳐졌다. 

여자 가구주는 2017년 594만4000가구(30.4%)였으나 2047년에는 875만1000 가구(39.2%)로 2017년대비 1.5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2047년 65세 이상 고령자 가구 1105만8000가구 중 1인 가구는 405만1000가구로 36.6%를 차지한다. 

독신, 비혼주의자 증가가 아닌 독거노인 증가로 1인 가구가 급증한다는 분석이다. 이는 우리나라가 30년 뒤에는 고령화 사회로 완연히 접어들게 된다는 것을 방증한다. 

한편 일본과 영국, 호주 등은 모두 가구증가율이 둔화 추세로 일본은 2024년부터 마이너스 성장을 시작할 것으로 파악됐다. 

[신아일보] 이인아 기자

inahlee@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