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란 껍데기에 산란일자 표시 전면 시행…양계농가는 부담
계란 껍데기에 산란일자 표시 전면 시행…양계농가는 부담
  • 박성은 기자
  • 승인 2019.08.22 14: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6개월 계도기간 종료, 이달 23일부터 표기 의무
상세한 정보표시 소비자 알 권리 충족 긍정적이나
생산자 재고 떠안고, 가격폭락 등 시장혼란 가능성
양계협회 "계란 신선도, 산란일자 아닌 온도가 좌우"
서울 모 대형마트에 진열된 계란. (사진=박성은 기자)
서울 모 대형마트에 진열된 계란. (사진=박성은 기자)

8월23일부터 계란 껍데기에 닭이 알을 낳는 날짜를 알 수 있는 ‘산란일자’ 의무 표시제가 전면 시행된다. 이에 따라 소비자는 계란의 산란일자를 비롯한 생산자·사육환경 등의 정보를 10자리 숫자로 확인하고, 정확한 정보를 알 수 있게 됐다. 다만, 생산자 입장에서는 산란일이 오래된 계란의 재고 부담 등 어려움이 예상된다.

2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는 작년 2월23일 계란의 안전성 확보와 소비자 알 권리 충족을 위해 ‘축산물의 표시기준’을 개정한 바 있다. 관련 개정은 2017년 8월 살충제 계란 사건을 계기로 소비자에게 달걀의 신선도·생산환경 등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과 함께 국내에 유통되는 계란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추진됐다.

이후 순차적으로 지난해 4월 생산자고유번호, 8월 사육환경번호, 올 2월 산란일자 표시를 도입했다. 산란일자 표시의 경우 6개월간 계도기간을 두고, 이달 23일부터 의무화된다.

산란일자 4자리를 포함해 생산자고유번호(5자리)·사육환경번호(1자리) 등 총 10자리의 숫자가 계란 껍데기에 표시되면서, 소비자들은 구입한 계란 정보를 좀 더 상세히 알 수 있게 됐다.

일례로 계란 껍데기에 ‘1004M3FDS2’가 표시됐다면, 앞의 1004는 10월4일에 닭이 알을 낳았다는 산란일자를 뜻한다. 5자리의 M3FDS는 생산자고유번호로서, 소비자가 식약처가 운영하는 식품안전나라 홈페이지를 통해 생산농장의 이름·소재지 등의 정보를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 숫자 2는 사육환경번호로, 산란계(알을 낳는 닭) 사육환경에 따라 1~4의 숫자를 표시한다. 1은 방사사육, 2는 축사 내 평사, 3은 개선된 케이지(0.075제곱미터/마리), 4는 기존 케이지(0.05㎡/마리)를 의미한다.

이처럼 계란 껍데기에 상세한 정보가 표시돼 소비자 알 권리 충족 차원에서는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되나, 산란계 농가 등 생산자는 산란일자 표시제 도입으로 재고 부담은 물론 앞으로 가격 폭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입장이다.

보통 계란 유통기간은 30일 정도로, 해당기간에는 산란일자와 관계없이 맛과 품질에 아무 이상이 없다는 게 업계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일본의 경우 계란의 상미기간(제품의 맛과 품질이 잘 유지되는 기간)은 최대 57일까지다.

대한양계협회 관계자는 “계란 신선도는 산란일자가 아닌 온도에 따라 좌우된다”며 “산란일자가 달걀의 안전성 확보에 영향을 미친다는 정확한 근거가 없고, 미국·일본 등 해외 선진국에서도 달걀에 산란일자를 표기한 사례가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산란일자 표시 의무화로 소비자는 우유 유통기한처럼 산란일자가 가장 늦은 계란 위주로 구매할 경향이 높다. 이럴 경우 농가들은 산란일자가 밀린 계란 재고를 고스란히 떠안을 수밖에 없다. 특히 주말·연휴에 생산되는 계란 등 산란일자와 유통시점 간의 차이가 생기면, 재고처리에 대한 농가 부담은 더욱 커지게 된다. 

더욱이 관련업계는 재고 부담이 계란가격 폭락으로 이어지는 악영향을 우려하고 있다.

농가가 재고 보관이나 폐기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 산란일자가 오래된 계란을 울며겨자먹기로 중간 유통상인이나 식품가공업체에 값싸게 넘길 소지가 크기 때문이다.

대한양계협회 관계자는 “이렇게 ‘덤핑’ 처리되는 상황들이 잦아지면, 계란가격이 전반적으로 폭락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이는 계란 생산기반과 수급에 악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신선하고 안전한 달걀 공급을 위해서는 콜드체인시스템 구축과 달걀유통센터(GP) 현대화·건립 확대 등 더욱 근본적인 대책들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parkse@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