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위기극복, 노사민정 대타협으로
경제위기극복, 노사민정 대타협으로
  • .
  • 승인 2009.02.04 16: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노사 파업이 지난1월 단 한 곳도 없던 것은1996년 3월 이후 13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다.

지난해 여름까지만 해도 한달에 20여건의 파업이 일어났으나 11월 2건 12월 1건으로 뚝 떨어지더니 올 1월에는 전무 상태다.

이는 경기 침체 양상이 얼마나 심각 한지를 실감 케 하는 것이다.

노조도 경기 침체위기를 절감하고 불황이 본격화되면서 회사 생존과 고용유지에 위기감을 느껴 무리한 요구나 강경투쟁보다.

노사타협으로 난국 타게 에 나서는 유연한 자세를 보이고 있다.

실제로 노조가 사측에 임금협상을 일임 하거나 동결 삭감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경제여건 악화로 상생의 노사관계가 어쩔 수 없이 이뤄지고 있는 셈이지만 노사화합자체는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

특히 요즘 경기상황을 예측할 수 없을 만큼 어려운 상태나 다름없다.

노사가 똘똘 뭉쳐 힘을 합쳐도 위기를 헤쳐 나가기 힘든 판에 파업한 것은 공멸 하자는 것이나 다름없다.

노사정과 시민단체 학계 종교계 등 각계 대표들이 참여하는 노사민정 비상대책회의가 3일 출범했다.

비상대책회의의 ‘대타협 선언’의 핵심은 비정규직 영세 자영업자 등 소외계층에 대한 배려가 중심을 이룰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노사민정에 이들의 입장과 목소리를 얼마나 진지하게 그리고 현실성 있게 반영 하느냐가 성패핵심 요인이 된다는 뜻이다.

그런데 지금까지 이들을 대변하고 있다.

는 경실련과 민노총이 일단참여를 보류한다는 것이다.

비록 민노총 말대로 비상대책회의가 ‘정부와 재계의 뜻대로 진행 될 것이 분명하다’고 본다면 그럴수록 협의에 참여 하여 소외계층을 대변하는 것이 도리일 것이다.

그렇지 못하고 대화의 문을 닫아 벌인다.

면 고립을 자초하는 것임을 알아야한다.

비상대책회의는 일자리 나누기와 사회안전망 확충방안을 논의한 뒤 각 주체의 고통분담을 내용으로 한 사회대타협 선언을 도출 대타협성사 여부는 노동계에 달려있다.

민주노총과 경실련은 대책회의 참여에 부정적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노동계의 유연한 인식과 자세변화가 절실히 필요하다.

그래야 비상대책회의가 추진하는 ‘고통분담 대타협’은 바로 이에 대한 범국민적 지지를 받는 방안이 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