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 졸이는 이통사…정부 5G 요금제 반려에 '한숨'
가슴 졸이는 이통사…정부 5G 요금제 반려에 '한숨'
  • 나원재 기자
  • 승인 2019.03.06 15: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업계 "5G는 고용량 콘텐츠가 대부분…수익성 우려도"
SK텔레콤 모델이 5G 스마트폰 가상현실(VR) 기기를 쓰고, 카트라이더 게임 화면을 시청하고 있다. (사진=SK텔레콤)
SK텔레콤 모델이 5G 스마트폰 가상현실(VR) 기기를 쓰고, 카트라이더 게임 화면을 시청하고 있다. (사진=SK텔레콤)

세계 최초 5세대(G) 통신 서비스를 시작하는 국내 이동통신사들의 한숨은 깊어질 전망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5일 이용자 선택권 제한을 우려해 SK텔레콤의 첫 5G 요금제 인가신청을 반려했다. 이를 두고 정부는 5G 통신시장 환경을 제대로 직시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나오는가 하면, 이통사는 수익성 악화를 우려할 처지에 놓일 수 있다는 풀이가 나온다.

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5G 서비스는 대용량 데이터 콘텐츠가 주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저가 요금제로는 제대로 이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

국내 이통3사는 지난달 막을 내린 세계 최대 이동통신박람회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19’에서 5G를 바탕으로 한 초연결 시대를 강조하면서 이용자가 가상·증강(VR·AR)현실에서 즐길 수 있는 스마트폰 킬러 콘텐츠를 대거 선보이는 등 생태계 확장을 예고했다.

SK텔레콤은 5G 스마트폰 공개에 맞춰 ‘VR 게임’을 킬러 콘텐츠로 내세웠다. SK텔레콤은 넥슨과 5G VR 게임 개발을 위한 온라인게임 3종의 지식재산권(IP) 사용 계약을 체결하고 5G 스마트폰으로 초고속, 초저지연 속성을 활용해 실감나는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KT는 5G 스마트폰에서 초고화질과 홀로그램 서비스를 준비하고, 1인 방송의 모바일 다중접속시대를 예고했다. 또, VR과 AR 게임도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LG유플러스도 5G 스마트폰이 출시되면 AR·VR 서비스가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하고, 구글과 VR 콘텐츠 공동제작에 이어 버라이즌과 콘텐츠 공동투자 방안을 마련해 5G 독점 콘텐츠를 확보한다고 밝혔다.

이러한 가운데, 과기정통부는 “대용량·고가요금제만으로 구성돼 있어 대다수 소량 데이터 이용자의 선택권을 제한할 우려가 크다”며 SK텔레콤의 5G 요금제의 보완을 권고했다.

과기정통부는 세계 첫 5G 상용화 개시에 지장이 없도록 SK텔레콤이 약관을 수정해 다시 신청하면 절차를 최대한 빠르게 진행하겠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이통사로선 난처할 수밖에 없다. 5G 환경에선 대용량 콘텐츠를 빠르게 전송할 수 있는 고가요금제가 많을 수밖에 없고 소용량 저가 요금제는 순식간에 데이터를 모두 소진해 의미는 크지 않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통사는 5G 기지국 구축과 콘텐츠 개발 등에 대규모 자금을 새로 투입해야 하기 때문에 저가 요금제로는 수익성을 장담할 수 없을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이통사는 3~5년간 5G 기지국을 최대 30%까지 의무적으로 구축해야 한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정부는 5G를 4G 롱텀에볼루션(LTE)의 연장선으로 생각하고 있지만, 5G는 LTE 대비 20배 빠르고 전송지연은 10분의 1 수준으로 단축해 대용량 콘텐츠를 공급하기 때문에 엄연히 다른 서비스”라며 “정부는 5G 시장을 직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SK텔레콤은 1위 통신사업자라, 새 요금제와 서비스를 내놓을 때 정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KT와 LG유플러스의 경우, 신고를 하면 되지만 SK텔레콤 요금제 수준에서 서비스 하고 있다.

nwj@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