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균형발전, 정밀진단 우선…"빅데이터 활용도 높여야"
국가균형발전, 정밀진단 우선…"빅데이터 활용도 높여야"
  • 천동환 기자
  • 승인 2019.01.30 15: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역 간 '개인 소득·기업 활동 격차' 파악 가능
정부·지자체 이용 활성화 위한 지원제도 필요
빅데이터를 활용한 2018년 지역별 개인소득 분포 분석 사례.(자료=국토연·코리아크레딧뷰로)
빅데이터를 활용한 2018년 지역별 개인소득 분포 분석 사례.(자료=국토연·코리아크레딧뷰로)

정부가 최근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전국 23개 개발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조사를 면제키로 한 가운데, 균형발전 정책을 제대로 수립하려면 정확한 진단이 우선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빅데이터를 적극 활용해 지역 간 개인소득과 기업활동 등을 자세히 파악해야 한다는 얘기다. 정부와 지자체가 정책 수립 시 빅데이터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체계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30일 김동한 국토연구원 연구위원은 '국토균형발전을 위한 빅데이터 활용 방안' 보고서를 통해 빅데이터를 활용한 균형발전 사업을 시행할 수 있는 제도적 지원체계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 연구위원은 "개인의 소득 활동과 소비, 기업의 생성과 소멸 등 국토공간에서 생활을 영위하고 경제활동을 전개하는 행위주체에 대한 빅데이터를 활용해 국토균형발전에 관한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국토공간의 지역 또는 도시 등에서 개별 행위주체들의 생산과 교역, 소득, 소비 활동을 자세히 분석해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빅데이터는 기존 사회경제통계와 달리 구체성과 최신성이 높고, 자료의 갱신 주기가 빨라 지역경제의 발전과 쇠퇴에 대한 신속하고 면밀한 분석이 가능하다는 것이 김 연구위원의 설명이다.

목적에 따라 다양한 공간단위로 활용할 수 있어 지역 간 비교분석뿐만 아니라 지역 내 비교분석에도 유용하다.

김 연구위원은 빅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데이터 내역과 특성을 명확히 공개하고, 지속적으로 발굴 및 수집, 정제하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빅데이터는 유용성이 획기적으로 커지고 있지만, 기존 정형화된 통계와 달리 비정형적이고 유동적인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김 연구위원은 "빅데이터의 미시적이고 동태적인 특성으로 인해 기존 통계분석 및 공간분석의 수단으로는 다루기 어렵다"며 "새로운 분석방법과 기술을 접목한 균형발전 분석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빅데이터 활용해 분석한 2018년 소득 5분위(상위소득) 공간분포.(자료=국토연·코리아크레딧뷰로)
빅데이터 활용해 분석한 2018년 소득 5분위(상위소득) 공간분포.(자료=국토연·코리아크레딧뷰로)

한편, 김 연구위원이 빅데이터를 활용해 국토공간상의 기업활동과 개인소득 분포를 파악한 결과, 지역 격차를 비교적 구체적으로 진단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서울시는 주거공간과 기업활동공간이 혼재된 지역으로, 소득 수준이 매우 높고 존속기간 50년 이내 기업이 주로 활동하고 있었다.

전국 상위 20% 이상 소득 수준의 주민들이 60% 이상 분포하고 있었으며, 연평균 개인소득은 약 4000만원 정도로 나타났다.

반면, 경기도 안산시 공업지역을 빅데이터로 분석한 결과, 기업활동은 활발했지만 부가가치가 높지 않은 소규모 공장이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전국 기준 하위 40% 이하 소득 주민 분포가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또, 강원도 태백시 사북읍은 소득 수준이 매우 낮고, 존속기간 20년 이내인 기업이 주로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 전국 하위 20% 이하 소득 주민들이 주를 이뤘으며, 평균 개인소득은 연 2700만원 정도였다.

cdh4508@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