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페이' 서비스 한달…가맹점 두배↑·이용 실적은 '비밀'
'제로페이' 서비스 한달…가맹점 두배↑·이용 실적은 '비밀'
  • 박선하 기자
  • 승인 2019.01.17 11: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가맹점 5만4천개…서울시 "실적 공개하는 것은 시기상조"
이용자·사용처 확대 주력…"몇년 후 전국으로 확장될 것"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서울시의 '제로페이' 서비스가 도입 한 달을 맞았다.

도입 한 달 만에 서비스 제공 가맹점은 두 배 가량 늘었으나 수가 많지는 않다. 이용건수와 금액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으나 초반 이용자가 많지 않은 것으로 점쳐진다.

17일 서울시에 따르면 제로페이는 스마트폰 간편결제를 통해 소상공인의 결제수수료 부담을 0%까지 낮춘 서비스다.

시는 카드 수수료가 소상공인들의 수익성 악화의 큰 영향을 준다고 판단, 이를 완화할 목적으로 지난해 12월20일부터 서울과 부산·경남에서 제로페이 시범서비스를 진행 중이다.

서비스가 시행된 지 한 달 가량 지난 현 시점에 제로페이 가입 신청을 한 소상공인 사업체는 약 5만4000개로, 시범 서비스를 시작할 당시(2만∼3만개)보다 두 개 가량 늘었다.

다만 실제 제로페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는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가맹신청을 한 뒤 QR 결제대 배송과 판매자 앱 설치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제로페이 이용 건수와 금액은 베일에 싸여있다. 서울시는 도입 초기인 만큼 공개는 시기상조라는 이유로 실적을 함구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한 달 만으로 유의미 한 데이터를 얻기는 힘들어 당분간 실적을 공개하지 않기로 했다"며 "시범 서비스는 실적보다는 기술과 서비스 보완이 주목적"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초기 이용자가 워낙 적은 데다 업체 간 비교를 부담스러워 실적 공개를 안 한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시의 '시정 4개년 계획'에 따르면 제로페이 이용액은 올해 8조5300억원, 2020년 17조601억원, 2021년 28조4336억원, 2022년 42조6504억원 등으로 늘어야 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이용자 및 사용처 확대가 필수다. 이에 시는 '유인책' 마련에 힘쓰고 있다.

우선 시는 시금고인 신한은행과 함께 법인용 제로페이 출시를 계획하고 있다. 기존 법인카드 대신 법인용 제로페이 앱을 만들어 시 직원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공무원 복지포인트 일부를 제로페이로 결제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전통시장 상품권으로 지급하던 복지포인트 일부를 제로페이로 전환하는 방식이 유력하다.

또 제로페이로 △서울대공원 입장료와 공공주차장에 할인 적용 △공공자금 집행 결제 △공공자전거 '따릉이' 이용료 △서울시립대 등록금 납부 등을 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사용처 확대를 위해서는 3월 정식 출시에 맞춰 기존 프랜차이즈 가맹점 외에 편의점, 커피숍 등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관련 업체들과 논의 중이다.

아울러 3월에 구매자의 스마트폰 앱에 QR코드나 바코드를 생성해 스캔하는 방식을 추가로 도입할 예정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현재 제로페이 내부 시스템 정비 중인데 서비스가 정식 시행되는 3월 말이면 대부분 끝날 예정"이라면서 "제로페이는 몇 년 지나면 전국적으로 확장될 것"이라고 호언했다.

sunha@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