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제조업 부가가치 독일 수준으로 높인다
2030년 제조업 부가가치 독일 수준으로 높인다
  • 이가영 기자
  • 승인 2018.12.18 13: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반도체·디플 ‘초격차’ 유지…삼성전자·SK하이닉스, 10년간 120조원 투자
車·조선 미래형 산업구조로 재편…친환경·스마트화가 핵심
(사진=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제조업 활력회복과 혁신’이라는 주제로 2019년도 산업통상자원부 업무보고를 받기 앞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왼쪽은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오른쪽은 홍의락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민주당 간사.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연구개발(R&D) 지원과 수요 창출 등을 통해 자동차와 반도체 등 주력산업의 부가가치를 세계 최고인 독일 수준으로 높이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8일 업무보고에서 밝힌 ‘제조업 활력 회복 및 혁신 전략’에 따르면 주력산업을 4개 산업군으로 묶어 맞춤형으로 지원한다. 

이를 통해 제조업 전체의 부가가치율을 2017년 25.3%에서 2022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30%, 2030년 독일 수준인 35%로 높이겠다는게 산업부의 구상이다.

우선 우리 기업이 앞서는 반도체·디스플레이·이차전지 산업은 경쟁국이 따라오지 못하게 초격차를 지킨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은 2026년까지 반도체에 200조원을 투자하겠다는 중국에 맞서 ‘대·중소 상생형 반도체 특화 클러스터’를 조성할 계획이다.

반도체 제조공장 4개와 50여개 협력업체가 동반입주하는 클러스터 조성에 민간이 내년부터 10년간 120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며 정부가 기업 투자가 적기에 이뤄지도록 밀착 지원한다.

또한 미래 먹거리가 될 차세대 반도체·디스플레이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이차전지 3대 핵심기술인 전고체, 리튬-황, 리튬-금속에 민관 공동투자한다.

기술유출을 막기 위해 마이크로 LED 등을 국가핵심기술로 추가 지정하고 국가핵심기술을 보유한 기업이 해외기업에 인수·합병될 때 신고를 의무화한다. 

자동차와 조선은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자율운항선박 등 친환경·스마트 산업구조로 재편해 재도약을 돕는다.

이날 발표한 3조5000억원의 금융지원을 골자로 한 자동차 부품산업 활력제고 방안과 함께 친환경차 생산 비중을 현재 1.5%에서 2022년 10%까지 확기적으로 늘린다. 
 
또한 2025년까지 총 LNG선 140척 발주 등 내수 확대를 통해 국내 생산기반을 유지한다. 

제조업 경쟁력의 원천이지만 해외 의존도가 높고 부가가치가 낮은 소재·부품·장비산업은 자립도를 키우고 글로벌 기업을 육성한다.

전체 정부 R&D의 5%인 1조원을 중소·중견기업에 매년 투자해 2030년까지 100개 핵심 소재·부품, 20개 장비의 자립화율을 높인다는 전략이다.

가격경쟁력을 상실하고 해외생산에 의존하게 된 섬유와 가전은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해 정보통신기술(ICT) 섬유와 스마트 가전으로 재탄생시킨다.

이 밖에 기업의 투자애로도 적극 해소한다. 

민간 신산업·투자 프로젝트는 전담관을 지정해 투자가 성사될 때까지 밀착 지원한다. 아울러 관계부처 협의를 통해 최저임금 인상과 근로시간 단축의 현장 연착륙을 유도한다. 

또한 환경부담금과 지역자원시설세 등 외부비용 때문에 증가하는 제조업의 생산부대비용 실태를 정기적으로 조사해 발표할 계획이다.

내년 1월 규제 샌드박스 관련 법령이 발효되는 대로 도심지역 수소충전소와 무인선박, 유전체 분석 서비스 등 신산업에 대한 실증사업도 추진한다.

내년 8월 일몰하는 ‘기업활력 제고 특별법’도 연장하고 지원대상에 공급과잉 업종뿐 아니라 4차 산업혁명 관련 신산업에 새로 진출하는 기업과 산업위기대응지역의 주요 산업체가 포함되도록 개편을 추진할 방침이다.

young2@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