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업 미래 성장기회는 고부가가치 수출시장 확보”
“한국농업 미래 성장기회는 고부가가치 수출시장 확보”
  • 박성은 기자
  • 승인 2018.12.05 17: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일 Korea-OECD 한국농업 혁신보고서 발간 국제세미나
농촌고령화·농업인구 감소로 내수시장 확대 가능성 낮아
아시아식품시장 겨냥 고부가가치 틈새상품 개발·수출 중요
5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한국농업 혁신, 생산성, 지속가능성 보고서’ 국제세미나에서 신고 기무라 OECD 농정분석관이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신아일보 박성은 기자)
5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한국농업 혁신, 생산성, 지속가능성 보고서’ 국제세미나에서 신고 기무라 OECD 농정분석관이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박성은 기자)

우리 농식품 산업의 경쟁력을 키우고 지속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한 미래성장기회로서 고부가가치 농식품 수출시장 확보가 중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5일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이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경제개발협력기구(OECD)와 공동으로 개최한 ‘한국농협 혁신, 생산성 및 지속가능성 보고서' 국제세미나에서 주제발표를 맡은 신고 기무라(Shingo Kimura) OECD 농정분석관은 “미래 인구구성의 변화와 경제성장의 둔화는 수요와 공급 측면 모두에서 한국농업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한국 농업인의 59%가 65세 이상의 고령농이고 농업인구 감소가 지속되면서 한국 식품시장 규모가 확대될 가능성은 낮은 편”이라면서 “내수 식품시장에서의 수요증가가 제한적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결국 한국농업의 미래성장기회는 고부가가치 농식품 수출시장 확보에 달려있다”고 말했다. 

신고 기무라 분석관에 따르면 한국의 1인당 농경지 규모는 0.03헥타르(ha, 약 300㎡)로 OECD 회원국 중 가장 적은 수준이다. 특히 세분화된 농지소유구조는 농지의 통합적 이용을 어렵게 하고 결국 영농규모화의 제약으로 작용한다. 그 결과 한국은 토지집약적인 경종농업에 비교우위를 갖지 못하고 있다.

그럼에도 그는 “이러한 한국의 영농상황과 함께 내수 식품시장이 한계라는 점은 역으로 농식품 분야가 수출로 더욱 전향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한국의 풍부하고 독특한 식문화를 반영한 신선농산물과 가공식품은 니치상품(Niche Item, 틈새상품)으로서 수출잠재력을 충분히 갖고 있다. 특히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아시아 농식품 시장을 겨냥한 고부가가치 틈새상품을 개발·수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시 말해, 한국 농식품 시스템의 건전성을 장기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내수뿐만 아니라 해외시장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신고 기무라 분석관은 식품제조업 육성 강화를 주문했다. 그는 국내 식품 수요 감소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규모가 적은 식품제조업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나, 전체 제조업에서 식품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다른 OECD 국가들보다 매우 낮은 수준이라고 말했다. 또한 한국의 식품제조업은 주로 중소업체들이 주도하고 있으며, 노동생산성은 경쟁국과 비교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그는 “고부가가치 식품생산의 기회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식품제조업 육성이 정책 지원에 중요 순위를 차지해야 한다”며 “식품제조업 육성은 농촌지역 내 고용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신고 기무라 분석관은 “한국은 첨단기술 수준이 높고 생명공학 등 미래산업 경쟁력이 충분한 국가다. 농업과 첨단기술·생명공학 분야와의 융합을 적극 시도한다면 향후 한국의 농식품 산업에서 지속적인 성장이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신아일보] 박성은 기자

parkse@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