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카풀 도입 절대 반대"…택시업계 반대집회
"카카오 카풀 도입 절대 반대"…택시업계 반대집회
  • 황보준엽 기자
  • 승인 2018.10.17 14: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국 택시업계 서울서 생존권 사수 결의대회 개최
택시 노사 4개 단체로 이뤄진 '불법 카풀 관련 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 11일 오후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카카오모빌리티 본사 앞에서 결의대회를 열고 카카오가 준비 중인 카풀 서비스 중단을 촉구했다.(사진=연합뉴스)
택시 노사 4개 단체로 이뤄진 '불법 카풀 관련 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 11일 오후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카카오모빌리티 본사 앞에서 결의대회를 열고 카카오가 준비 중인 카풀 서비스 중단을 촉구했다.(사진=연합뉴스)

카카오가 도입한 '카풀 서비스'에 반발한 성난 택시기사들이 거리로 나선다. 이에 수도권 등에서는 택시 수급에 차질이 빚어져 '교통대란'이 일어날 가능성이 점쳐진다.

전국택시업계는 18일 오전 4시부터 19일 오전 4시까지 택시운행을 중단하고 18일 오후 2시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택시 생존권 사수 결의대회'를 열 예정이다.

'카카오 카풀'은 출퇴근 시간 자가용 운전자가 목적지가 같은 탑승객을 태워 준 후 돈을 받는 서비스다.

택시업계는 이 서비스가 시작되면 개인택시 면허가격이 대폭 하락하고, 택시 산업이 몰락할 것이라며 시행을 반대하고 있다.

서비스 시행을 막기 위해 서울을 비롯한 전국 각지의 택시 조합원들은 이날 집회에 참가해 목소리를 높일 계획이다.

다만 카풀 문화가 아직 자리 잡지 않은 지방은 집회 참여를 대부분 자율에 맡겨 수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운행 중단 비율이 낮을 것으로 보인다.

우선 서울개인택시조합·서울시택시운종사업조합은 이날 차량 운행을 전면 중단한다. 서울의 개인택시는 4만9242대, 법인택시는 2만2603대로 모두 7만1845대에 달한다.

카카오모빌리티가 소재한 경기도에서도 대대적인 집회 참여가 예정됐다. 총 3만7104대의 관내 택시 중 개인 1만1000여명, 법인 1만여명 등 2만1000여명의 택시기사가 집회에 나선다.

법인 택시 5385대, 개인 택시 8986대 등이 등록된 인천시에서도 약 4500대의 택시가 운행을 중단하고 집회에 동참할 예정이다.

전북 전주 개인택시들도 집회 참석을 위해 이날 운행을 중단한다. 전주시에 등록한 개인택시는 2339대, 법인택시는 1521대이다. 법인택시는 자율적으로 운행 중단 여부를 결정한다.

부산지역 택시업계는 법인택시 500명, 개인택시 500명 등 1000명 가량이 집회 참석을 위해 서울로 이동한다.

대구는 개인·법인 택시기사 모두 집회 참석을 자율 판단에 맡긴다. 현재 법인택시 업체 90곳의 대표와 근로자 등 300여명과 개인택시 기사 300여명이 집회에 참가할 것으로 파악됐다.

이외에 광주 320명, 강원 250명 경남 200명, 울산 160명, 제주 25명 등의 기사가 운행 중단에 나선다.

전날 생존권 사수를 위해 전면 운행중단을 예고했던 충북개인택시운송사업조합 청주시지부는 시민 불편 최소화를 위해 이런 결정을 취소했다.

집회 참가자 중 일부는 집회를 마치고 광화문 북측광장을 출발해 청와대와 가까운 효자동 치안센터까지 행진하면서 '카풀을 빙자한 자가용 불법 영업 퇴출'을 촉구할 계획이다.

수도권 지자체는 택시업계의 운행 중단으로 이용자의 불편이 예상됨에 따라 비상수송대책 마련을 위해 고심 중이다.

앞서 택시 노사 4개 단체로 이뤄진 '불법 카풀 관련 비상대책위원회는 카카오 카풀 서비스를 반대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비대위는 "카카오가 '카카오택시'로 택시 호출서비스 시장에서 독점적인 위치를 차지해놓고 막대한 자본을 앞세워 택시산업에 반하는 카풀서비스로 또다시 사익을 추구하는 이율배반적인 모습을 보인다"고 비판했다.

카카오모빌리티 측은 카카오 카풀이 택시 대체용도가 아닌 승차난 해소를 위해 등장한 보완재일 뿐이라고 반박했다.

'2018 카카오모빌리티 리포트'에 따르면 지난달 20일 출근시간인 오전 8시 1시간 동안 카카오 T 택시 호출은 약 20만5000건에 달한 반면 당시 배차를 수락한 차량은 3만7000대에 불과해 호출의 80% 이상이 공급 불가능했다.

[신아일보] 황보준엽 기자

hbjy@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