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 불황 장기화…선박 수리·개조가 ‘돌파구’
조선업 불황 장기화…선박 수리·개조가 ‘돌파구’
  • 이가영 기자
  • 승인 2018.09.09 11: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선복량 증가·환경규제 강화 영향
“유후 설비·숙련공 활용하고 클러스터 조성해야”
(사진=산업연구원)
(사진=산업연구원)

조선업의 장기불황이 지속되면서 선박 수리·개조를 산업 재건의 동력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9일 산업연구원의 ‘대형선박 수리·개조산업 재건을 통한 국내 조선산업 혁신성장 모색’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선박 수리시장은 2013년 70억달러 규모에서 2016년 77억달러 규모로 3년 만에 7억달러 성장했다. 

신조 호황으로 선복량이 증가해 수리해야하는 선박이 급격히 늘어난 영향이다.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규정 강화로 친환경 설비의 장착, 추진시스템의 개조를 위한 시장도 눈에 띄게 성장하고 있다. 

내년 9월부터 의무장착해야하는 선박평형수처리장치(BWTS)가 대표적이다. BWTS는 선박 평형수에 포함된 유해 수상생물과 병원균을 제거해 무해화 또는 그 유입이나 배출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나 설비를 말한다.

선박의 크기와 선종에 따라 설치비용에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BWTS 개조시장 규모는 향후 5년 동안 연간 약 6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밖에 스크러버(Scrubber·오염물질 저감장치)와 해양플랜트 개조 시장도 각각 1조~2조원, 50억~60억달러(한화 5조6000억~6조7000억원) 등으로 추산된다. 

싱가포르와 중국은 수리·개조산업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일찌감치 관련 산업을 육성하고 있다. 특히 중국은 가격측면에서 싱가포르는 기후, 항로, 배후단지, 가격 등 측면에서 한국 보다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반면 한국의 경우 연근해에서 운항하는 소형선박 수리시장을 제외하면 대형선박 수리시장은 거의 전무하다. 

이에따라 불황으로 가동을 멈춘 유휴 설비와 우수한 숙련공, 친환경 기자재 및 LNG관련 기술 등을 선박 수리·개조에 활용해 침체된 조선산업을 재건해야 한다는게 보고서의 제언이다. 

이은창 산업연구원 시스템산업연구실 부연구위원은 “중국, 싱가포르와 비교해 우리나라의 대형선박 수리·개조산업은 충분히 기술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며 “선박의 수리·개조뿐만 아니라 선용품 및 연관 관광산업에서 생산 증가와 고용 창출을 위한 중대형 선박의 수리·개조 클러스터 조성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young2@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