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 스마트공장 지원, 구색맞추기용 양적확대 치우져
中企 스마트공장 지원, 구색맞추기용 양적확대 치우져
  • 이가영 기자
  • 승인 2018.08.19 15: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기硏, 한·독 스마트팩토리 정책비교 보고서
실효성 갖추려면 수요기업 중심 시책 추진해야
 

국내 중소기업의 스마트공장 지원책이 양적확대에 치우쳐져 있어 보완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19일 중소기업연구원의 ‘한·독 스마트팩토리 정책 비교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4년 (2014~2017년)간 정부와 민간으로부터 총 2669억원이 투입돼 전국 5003개의 중소기업에 스마트공장이 지원·보급됐으며 해당기업들은 생산성 30% 증가, 불량률 45% 감소, 원가 15% 절감, 고용창출 평균 2.2명 등 성과를 보였다.

그러나 정부의 스마트제조 지원사업은 정량적 목표달성을 위한 기초단계 지원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스마트공장 구축 기업 10곳중 약 8곳(76.4%)은 생산정보 디지털화와 제품 생산이력을 관리하는 수준의 기초단계에 그쳤다. 반면 생산시스템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분석하고 생산공정을 제어할 수 있는 중간단계의 구축비중은 2.1%에 불과했다. 
 
그 결과 공급기업의 요소기술 및 센서 등 하드웨어는 선진국 대비 낮은 수준인 20~40% 에 그쳤다. 중소 수요기업은 운영인력이, 공급기업에는 개발인력이 부족했으며 구축 수요는 대부분 지역에서 발생(67.2%)한 반면 지원 조직은 수도권에 집중돼있었다. 

이에 독일의 사례를 통해 국내 스마트공장 정책 방향을 새로이 해야 한다는게 보고서의 조언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제조강국인 독일은 스마트기술의 산업현장 적용과 확대를 위해 ‘중소기업 4.0’ 정책에 사활을 걸고 있다. 해당 정책은 수요기업인 중소기업을 최우선으로 고려 하고 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다. 

전국적으로 23개 ‘중소기업4.0 역량센터’를 통해 기술 이전을 돕고 있으며 350여개 사례를 소개해 스마트공장 구축에 따른 효과도 적극 소개하고 있다. 

또한 중소기업의 투자 회수성을 고려해 연구개발(R&D) 과제 추진에서도 실제 중소기업에 적용 가능한 프로토타입 솔루션과 기기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

김광희 중소기업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연구소와 기업을 중심으로 컨설팅 역량을 강화하고 모범사례를 널리 알림과 동시에 업종별 학습형 스마트공장 확대가 필요하다”며 “아울러 모듈화 및 업종별 플랫폼 구축과 함께 양성과 재교육을 통한 전문인력 확충이 시급하다”고 전했다. 

young2@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