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난 文대통령 '중재자 역할'… 북-미 불신 깨뜨렸다
빛난 文대통령 '중재자 역할'… 북-미 불신 깨뜨렸다
  • 김가애 기자
  • 승인 2018.06.12 19: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美트럼프, 싱가포르 회담 뒤 기자회견서 "文대통령에게 감사"
'베를린 선언'부터 북미회담 성사까지… 숨가쁜 행보 보여와
향후 '비핵화' 부분서 文대통령 중재자 역할 이어져야 할 듯
역사적 첫 북미정상회담이 열린 12일 오후 싱가포르 센토사 섬 카펠라호텔에서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공동합의문에 서명하고 있다. 왼쪽은 김여정 당 제1부부장, 오른쪽은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 (사진=싱가포르 통신정보부/연합뉴스)
역사적 첫 북미정상회담이 열린 12일 오후 싱가포르 센토사 섬 카펠라호텔에서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공동합의문에 서명하고 있다. 왼쪽은 김여정 당 제1부부장, 오른쪽은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 (사진=싱가포르 통신정보부/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역사적인 첫 북미정상회담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의 큰 틀에 합의하면서 문재인 대통령의 '중재자 역할'이 주목받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싱가포르 센토사 섬 카펠라 호텔에서 열린 북미회담 후 기자회견을 통해 "문재인 대통령에게 감사드린다. 조만간 문 대통령과 전화통화를 할 것"이라고 공식적으로 사의를 표했다.

역사적인 첫 북미회담이 실제 열리기까지 문 대통령이 자신과 김 위원장 사이에서 중재자 역할을 한 것에 대해 감사표시를 한 셈이다.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도 지난 4일 NBC(현지시간)에 출연해 첫 북미회담이 우여곡절 끝에 개최되는 과정에서 문 대통령의 중재 역할을 높이 평가하며 "지금까지의 과정에서 진짜 영웅은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실제 북미회담이 성사되기까지 문 대통령의 중재 역할이 매우 컸다는 데 많은 이들이 공감하고 있는 것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취임 직후부터 대북정책에 대해 '대화-제재' 투트랙 전략을 펼쳐왔다.

그러나 북한은 문 대통령 취임 나흘 만에 중장거리탄도미사일을 발사한 것을 시작으로 7번의 미사일 발사와 한 차례 핵실험을 감행하며 도발을 이어갔다.

'대화'을 강조하던 문 대통령도 북한의 도발에는 단호하게 대응했다.

지난해 6월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에서는 북한의 도발에 최대한의 제재와 압박을 가한다는 원칙에 의견을 함께했다.

문 대통령의 '중재자 역할'이 본격화한 계기는 '베를린 선언'이었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7월 독일 방문 당시 쾨르버재단 초청 연설에서 "여건이 갖춰지고 한반도 긴장과 대치 국면을 전환할 계기가 된다면 언제 어디서든 북한의 김정은 위원장과 만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이후 문 대통령은 북한이 평창동계올림픽에 참가하게 하는 데 주력했다.

마침내 김 위원장은 올해 신년사를 통해 "평창동계올림픽에 대표단 파견을 포함해 필요한 조치를 위할 용의가 있다"고 화답했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12일(현지시간) 싱가포르 센토사 섬 카펠라 호텔에서 업무오찬을 마친 뒤 산책하고 있다. 오른쪽 사진은 지난 4월 27일 도보다리에서 산책 중인 문재인 대통령과 김 위원장. (사진=연합뉴스)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12일(현지시간) 싱가포르 센토사 섬 카펠라 호텔에서 업무오찬을 마친 뒤 산책하고 있다. 오른쪽 사진은 지난 4월 27일 도보다리에서 산책 중인 문재인 대통령과 김 위원장. (사진=연합뉴스)

 

이후 문 대통령은 북미간 중재에도 속도를 냈다.

결과적으로는 무산됐지만 올림픽 참석차 서울을 찾은 김여정 북한 노동당 중앙위 제1부부장과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 간 회동 중재를 시도한 게 대표적이다.

김 제1부부장의 방남에 이어 3월 초 정의용 청와대 안보실장이 문 대통령의 특사로 방북하면서 11년 만에 남북정상회담이 성사됐다.

4·27 남북정상회담에서 남북 정상은 '판문점 선언'을 통해 '완전한 비핵화를 통한 핵 없는 한반도'를 남북 공통의 목표로 관철시키기도 했다.

북한의 근본적인 태도 변화를 끌어냄으로써 북미 대화의 성사 확률을 더욱 높인 셈이었다.

남북정상회담을 북미정상회담의 '길잡이'라고 했던 문 대통령은 북미회담의 성사를 위해 공을 들였다.

'6월 12일 싱가포르'로 북미정상회담 날짜와 장소가 확정된 후인 지난달 22일(현지시간)에는 1박4일의 빡빡한 일정으로 미국을 방문해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고 북미회담과 한반도 문제에 대해 논의했다.

그러나 한미연합 공중훈련인 맥스선더를 두고 북한이 미국을 강하게 비난했고,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 취소를 선언하며 문 대통령의 중재 행보가 최대 고비를 맞게 된다.

그러나 문 대통령은 신중한 태도로 북미 정상 간 직접 대화를 촉구하며 회담을 재성사시키는 데 주력했다.

지난달 26일에는 극비리에 김 위원장과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서 만나 '2차 남북정상회담'을 갖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회담 취소 발표 후 김 위원장이 문 대통령에게 만나자고 제안하자, 모든 격식을 생략한 채 회담을 진행한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과 국무위원들이 12일 오전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열기 앞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역사적인 첫 만남을 갖는 모습을 방송을 통해 지켜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국무위원들이 12일 오전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열기 앞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역사적인 첫 만남을 갖는 모습을 방송을 통해 지켜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후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이 미국을 방문해 트럼프 대통령에게 김 위원장의 친서를 전달하는 등 북미가 서로의 신뢰를 확인하며 문 대통령의 중재자역할은 최절정에 이르게됐다.

다만 북미 정상 간 합의에서 CVID 중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부분이 빠진 것으로 미뤄봤을 때 문 대통령의 중재자 역할이 이어져야 한다는 관측이 나온다.

실제 문 대통령은 이날 북미회담 직후 발표한 입장문을 통해 "이번 합의가 온전히 이행되도록 미국과 북한, 국제사회와 아낌없이 협력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정상회담에서 완전한 비핵화, 평화체제 보장, 북미 관계 정상화 추진, 6·25 전쟁 전사자 유해송환 등 4개항에 전격 합의했고 이같은 내용의 공동성명을 채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