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절반 “근로시간 단축, 경영에 악영향”
대기업 절반 “근로시간 단축, 경영에 악영향”
  • 이가영 기자
  • 승인 2018.06.06 12: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임금보전 요구·노사 충돌·인건비 부담 등 우려 커
유연·집중근로시간제 등 도입해 생산성 높일 계획
(사진=한국경제연구원)
(사진=한국경제연구원)

오는 7월1일 근로시간 단축을 앞두고 대기업 두 곳 중 한 곳은 근로시간 단축이 기업 경영에 부정적이라 답했다. 특히 노조의 임금보전 요구, 생산성향상 관련 노사 의견충돌, 인건비 부담 등에 대한 우려가 많았다. 

한국경제연구원이 지난해 매출액 600대 기업 중 7월1일부터 근로시간을 단축해야 하는 기업 372개사를 대상으로 최근 실시한 ‘2018년 근로시간 단축대응 계획’ 조사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55.4%가 근로시간 단축이 영업이익 등 전반적인 경영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했다. 긍정적 영향을 예상한 기업은 19.6%에 그쳤다.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애로사항으로는 ‘노조의 근로시간 단축으로 축소된 임금보전 요구’와 ‘생산성향상 과정에서 노사간 의견 충돌’이 각각 35.7%로 가장 높았다. 아울러 △종업원 추가 고용에 따른 인건비 부담(29.5%) △계절적 요인 등 외부 수요변화에 따른 생산조절 능력 저하(28.6%) △신제품개발 및 연구개발 기능 저하(15.2%) △협력업체 납기지연에 따른 생산차질(10.7%) 등도 어려움으로 지적됐다. 

근로시간 단축으로 가장 큰 피해가 우려되는 부서로는 응답기업의 72.3%가 생산현장인 ‘공장’을 꼽았다. 그 다음으로는 △연구개발 부서(22.3%) △영업 부서(19.6%) △인사 부서(13.4%) 등 순으로 예상됐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생산성향상을 통해 근로시간 단축에 적극 대응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실제 근로시간 단축에 대한 주요 대응계획을 보면 ‘생산성 향상 대책 추진’이 74.1%로 가장 많았다. 해당 기업들은 사무·연구개발 근로에는 ‘유연근로시간제’나 ‘집중근로시간제’를, 생산현장에는 ‘교대제 개편’이나 ‘근로시간 유연화’, ‘스마트 공장 추진’ 등을 도입할 예정이라 밝혔다. 

근로시간 단축을 지원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으로는 ‘신규 고용 근로자에 대한 인건비 일부 지원(37.5%)’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 밖에 △기존 근로자 임금 감소분 일부 보전(20.5%) △설비투자 융자 지원(20.5%) △근로시간 유연화 등 컨설팅 지원(14.3%) 도 효과가 높았다. 

추광호 한국경제연구원 일자리전략실장은 “근로시간 단축에 대응해 기업들이 근로시간 유연화 등 생산성향상에 주력할 것으로 예상되고 이 과정에서 노조의 임금 보전 요구와 노사 간 의견 출돌, 추가 인건비 등이 주요 애로사항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그는 “근로시간 단축이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연착륙하기 위해서는 노사가 협력하고 양보하면서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 노력해야 한다. 아울러 탄력적 근로 시간제 단위기간을 선진국 수준으로 연장하는 등 제도 개선도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