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육 시스템 다시 짜야’
‘한국교육 시스템 다시 짜야’
  • .
  • 승인 2008.11.09 17: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남표 KAIST 총장이 현 교육 시스템으로는 한국 대학교육이 발전 할 수 없다고 경고했다.

‘한국의 교육 시스템은 큰 방향을 읽지 못하고 방법론에서 다투는 수준’이라며 ‘실패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비난했다.

그는 또 겸직된 교육 시스템에서 ‘정부나 공무원들이 의도가 아무리 좋아도 대학에 보탬이 안 된다’며 ‘한국의 교육 시스템을 완전히 바꿔야한다’고 주장했다.

서 총장은 한국 프레스센터에서 열리는 제2회 관훈클럽에서 이런 내용의 경고를 했다.

서 총장은 한국의 교육 시스템을 ‘수도꼭지’에 비유했다.

그는 따뜻한 물을 쓰기 위해 빨강 꼭지를 틀면 물 온도뿐만 아니라 물 양까지 바뀌게 설계된 수도꼭지 예를 들었다.

그는 ‘총장이 입학 정원이나 교수 채용을 늘이고 등록금을 올리려고 하면 한국의 교육시스템 전체가 흔들리는 구조’라고 분석했다.

교육 자율화를 내걸고는 있지만 교과부의 교육에 대한 권한은 여전히 막강하다.

돈줄과 각종 인허가권을 틀어쥐고 대학을 통제한다는 것이다.

정원을 늘리려면 교과부승인을 받아야 하다.

학사운영과 관련해 교과부 말을 안 들으면 재정지원이 줄어든다.

사립대의 임원 승인 취소권도 교과부가 쥐고 있다.

이러니 KAIST도 교과부의 발목잡기에서 벗어나지 못 한다.

대학의 정원 운영을 위해 학부 입학정원을 700명에서 1000명으로 늘려야 하지만 교과부는 형평성을 이유로 불가입장을 보인다.

교수를 450명에서 700명으로 늘어야 MIT와 경쟁이 가능하다고 보고 올해 35명을 더 뽑으려고 신청 했지만 교과부는 거절 했다.

2008학년도 입시부터 1차 서류 전형을 거쳐 인성 면접으로 학생을 선발 했다.

2009학년도 신입생에 대해서는 교수 100여명에 학생 1500여명을 하루 종일 면접하는 방식으로 창의력 사회성 독립성 등을 평가 했다.

서 총장은 ‘대학 수학능력시험 2.3점차로 합격 불합격을 가리는 대학입시는 필연적으로 사교육을 조장한다’며 ‘최소한 KAIST에 지원한 학생은 사교육을 받아도 도움이 되지 않은다’고 말해야한다고 했다.

이렇게 하면 사교육은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이다.

KAIST는 이런 입시 제도를 채택할 수 있었다는 것은 자율적으로 전형하는 특수 대학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교과부 밑에선 한계에 부닥칠게 뻔하다.

교과부가 교육발전에 장애물이 되어선 안 된다.

대학이 실질적인 자율을 찾을 때 대학교육의 미래가 열린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