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2금융권 채용비리 점검이 우려되는 까닭
[사설] 2금융권 채용비리 점검이 우려되는 까닭
  • 신아일보
  • 승인 2018.02.07 16: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융당국이 이르면 내달 초부터 은행권에 이어 제2금융권에 대해서도 채용비리 현장 점검에 나선다. 최근 은행권 채용비리와 관련 검찰에 수사를 촉구한데 이어 보험, 증권, 카드,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2금융권 중 외국계 기업을 제외한 70여곳이 검사 대상으로 거론되고 있다.

KB국민은행 등 은행권 채용비리 논란이 2금융권으로 확산되는 모양새다. 금융업계에서는 감독권을 내세운 금융당국이 찍어내리기식 ‘표적수사’가 아닌 명확한 기준을 통한 공정하고 투명한 검사가 이뤄져야 한다는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금융당국의 발표에 박수를 치기보다는 무리수를 두는 것 아니냐는 걱정의 목소리가 크다. 특히 2금융권은 업체에 따라 소유구조가 명확한 민간영역이 많은데 은행권처럼 하나의 잣대로 평가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정부지분이 하나도 없는 민간업체까지 채용과정을 들여다보는 게 경영상의 인사권을 제한하는 부작용을 낳지 않을까하는 근심이다. 

당초 채용비리가 불거진 것은 금융감독원에서부터였다. 금융감독원의 채용비리가 밝혀지면서 국민적 분노를 자아내자 슬그머니 은행권도 점검하겠다며 눈을 돌린 것이다. 인기직종인 은행권의 채용비리를 점검한다며 여론의 눈을 돌린 것이다.

우리은행에 이어 최근 KB금융 등 5곳에서 채용비리 혐의가 있다며 금융당국이 검찰에 수사를 의뢰하면서 후폭풍이 불게된 것이다.

물론 금감원의 채용비리의 비난을 무마하려는 의도보다는 금융권에 대한 감독을 제대로 하겠다는 의지였다고 믿는다. 하지만 2금융권까지 확대하겠다는 방침을 세운 것에는 또 다른 고민이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다.

금융당국이 5개 은행의 채용비리를 검찰에 수사의뢰하는 발표를 한 것은 KB금융지주와 하나금융지주 회장의 연임에 대한 ‘복수전’의 일환이 아니냐는 ‘합리적 의심’을 갖게 한다. 우리은행의 경우처럼 검찰에 수사의뢰하면 스스로 물러날 줄 알았던 KB금융과 하나금융이 정면반박에 나선 것도 2금융권으로 확대해야 할 이유가 아니었을까.  

채용비리와 관련해 검찰 수사를 받고 있는 하나은행은 55명의 이름이 담긴 이른바 ‘VIP 리스트’에 대해, 55명은 은행 내부 게시판을 통해 직원, 주요 거래처 등으로부터 추천받은 우수 인재들이어서 서류 통과의 기회를 줬다고 해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은행 관계자도 윤종규 KB금융그룹 회장의 종손녀가 서류 전형과 실무 면접에서 하위권을 기록했는데도 임직원 면접에서 최고 등급을 받은 데 대해, 채용 전형 단계마다 ‘제로(0)베이스’에서 평가가 이뤄지기 때문에 특혜가 아니라는 설명이다. 

다행히 제2금융권에 대한 금감원 현장 검사는 시중은행과 다른 잣대가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오너(주인)가 없고 공공적 성격이 큰 은행들과 달리 제2금융권은 대부분 지배적인 대주주가 있기 때문에 설령 청탁에 따른 채용이 있다 해도 배임혐의 등을 적용하기 애매하다. 상황에 따라 ‘정당한 인사권’으로 읽힐 소지가 다분한 것이다. 

금융당국의 올바른 감독원이 최근 상황에 따라 여러 가지 시각에서 읽히고 있다. 금융당국으로서는 뼈아픈 실수이기도 하다. 금융위와 금감원이 왜 이런 오해를 받고 있는지부터 반성해야 한다. 정말 다른 의도가 없다면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