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가상화폐·가상통화… 어떤 명칭이 맞을까?
암호화폐·가상화폐·가상통화… 어떤 명칭이 맞을까?
  • 박소연 기자
  • 승인 2018.01.14 09: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 여의도 코인원블록스에서 대형 전광판에 가상화폐 시세가 표시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 여의도 코인원블록스에서 대형 전광판에 가상화폐 시세가 표시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최근 국내외에서 투자·투기 열풍이 일고 있는 비트코인(BTC) 등 디지털 결제 수단을 우리말로 뭐라고 부르는 것이 맞을까.

같은 대상을 두고 암호화폐부터 가상화폐, 가상통화, 가장증표까지 여러 용어가 섞여 사용되면서 혼란이 심해지고 있다.

먼저 국내 업계 1위인 빗썸을 비롯해 업비트, 코인원 등에서 가장 많이 쓰는 용어는 영어권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암호화폐'다.

이는 영어로 '크립토커런시(cryptocurrency)'에서 유래된 것으로 영어의 'currency'와 'money'를 우리말 뜻을 고려해 암호화폐로 의역한 것이다.

대부분의 국내 언론매체가 사용하는 용어는 '가상화폐'이다.

이는 2014년부터 유럽연합 은행규제 당국이 사용중인 '버추얼 커런시(virtual currency)'의 번역어 중 하나로, 실물 없이 네트워크로 연결된 가상공간에서 쓰이는 전자적 결제 수단을 통틀어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 용어는 사용자로 하여금 해석의 혼란을 일으킬 소지가 다분하다는 단점잉 LtEK.

한국은행 등 정부·공공기관들이 사용하고 있는 용어는 '가상통화'이다.

한국은행은 2016년까지 현지정보 보고서 등에서 '디지털통화'라는 표현을 쓰다가, 2017년 2월부터 '가상통화'라는 용어를 쓰고 있다.

최근에는 박상기 법무부 장관이 국내 크립토커런시 거래소 폐지를 위한 법안을 준비 중이라고 밝히면서 '가상증표'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했다.

당시 박 장관은 "법무부는 '가상화폐' 용어도 정확하지 않다고 본다. '가상증표' 정도로 부르는 게 정확하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는 '화폐'나 '통화'라는 단어를 통해 마치 정부가 공신력을 부여하는 듯한 인상을 차단하려는 의도다.

이처럼 같은 대상을 지칭하기 위해 다른 용어를 쓰는 이런 상황은 서로 디지털 결제 수단에 대한 다른 관점과 입장을 반영하는 것이어서, 관련 정책과 법규가 정립되기 전에는 쉽게 해소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신아일보] 박소연 기자 thdus5245@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