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청년 문제 해결, ‘꾸준함’이 필요하다
[기자수첩] 청년 문제 해결, ‘꾸준함’이 필요하다
  • 이서준 기자
  • 승인 2017.12.27 13: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말을 맞아 오랜만에 동창들과 만나 조촐한 송년회를 가졌다.

30대에 접어든 우리의 최대 화두는 돈. 돈을 벌 직장을 구하지 못해서, 혹은 돈은 벌지만 아무리 모아도 집 한 채, 차 한 대 사기도 버겁다는 이야기가 오고갔다. 돈의 압박 속에서 안정적인 미래를 그리기란 참 어려웠다.

청년세대의 취업난·저소득 문제는 뚜렷한 해결책 없이 몇 년째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특히 최근에는 지난해 30세 미만 저소득 청년 가구의 한 달 소득이 꾸준히 줄어 70만원대로 떨어졌다는 통계청의 조사 결과가 발표되기도 했다.

10년 전 청년세대의 어려움을 나타내던 단어인 ‘88만원 세대’도 모자라, 요즘은 ‘77만원 세대’로 격하(?)되기까지 한 것이다.

과거 정부들이 청년 문제 해결을 최일선 공약으로 내세웠음에도 상황이 갈수록 악화되는 아이러니컬한 상황에는 이유가 있다.

박근혜 정부를 예로 들면, 임기 첫해에 평균임금 상승이 높은 기업에 세제 혜택을 주는 근로소득 증대세제를 도입하는 등 문제 해결에 나서는 듯 보였지만, 이듬해에는 노동시장 유연화를 이유로 파견·기간제 근로자 사용에 대한 규제 완화를 추진하는 등 역행하는 모습을 보였다.

손바닥 뒤집듯 정책 방향이 바뀌는 모습에 청년들은 당장의 가난보다 미래에 대한 불안감에 사로잡혀 힘든 시간을 견뎌야 했다.

이번 문재인 정부 역시 청년 일자리 문제 해결과 소득주도 성장을 강조하며 임기 초부터 청년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고 있다.

사회 안전망 확대를 위해 임금을 올리고, 공공 주택 건설을 늘리며, 실업보험 등 혜택을 강화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또 이러한 정책의 재원은 부자들에 대한 증세로 충당한다는 기조다.

정책이 실효를 거두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번 문재인 정부만큼은 과거 정부들과는 달리 일관성 있는 태도를 보여주기를 주문한다.

청년세대가 가장 바라는 것은 ‘꾸준함’에서 나오는 안정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