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의 덫’…기대 자녀 수 2명 미만 인구 감소 불가피
‘저출산의 덫’…기대 자녀 수 2명 미만 인구 감소 불가피
  • 김성욱 기자
  • 승인 2017.11.20 16: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0~2015년 결혼’ 부부 8.2%…“애 안 낳는다”
출산기간 2.2년으로 떨어져…“다자녀 감소 추세”
(사진=신아일보DB)
(사진=신아일보DB)

부부가 평생 낳기로 한 아이의 수가 2명에도 미치지 못해 현재 인구 수준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최소 수준도 채우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아예 자녀를 낳지 않기로 한 부부가 급증하는 등 한국 사회가 ‘저출산의 덫’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는 모습이다.

20일 통계청과 통계개발원이 발표한 ‘생애주기별 주요 특성 분석’에 따르면 2005~2009년 혼인코호트의 기대 자녀 수는 1.91명으로 1950~1954년 4.49명보다 절반 아래로 감소했다.

혼인코호트란 특정 시간대(5년)에 결혼이라는 사건을 경험한 집단을 말하며 기대 자녀 수란 현재 출생아 수에 앞으로 계획하고 있는 자녀 수까지 합한 수치다.

최근 기대 자녀 수는 인구를 현장 유지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출산인 2.1명 이하다. 이는 곧 인구 감소로 이어진다는 의미다.

가장 최근인 2010~2015년의 기대 자녀 수는 2.07명으로 급격히 증가했지만 이는 결혼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부부의 추가 계획 자녀 수가 다소 과다하게 집계된 것으로 향후 조사에는 더 감소하리라는 것이 통계청의 분석이다.

심지어 최근에는 저출산이 아니라 아예 자녀를 낳지 않는 추세가 강화되고 있다.

2000~2004년 혼인코호트 중 무자녀의 비중은 5.9%로 1990년 중반까지 2% 내외를 유지했던 것과 비교하면 급격한 상승이다.

2010~2015년의 비중은 무려 37.2%까지 올라가지만 이는 결혼한 지 얼마 되지 않은 부부까지 포함된 비중이라 무자녀와는 직접 연관 지을 수는 없다.

다만 2010~2015년의 기대 자녀 수가 0명인 비중은 8.2%로 역대 최고인 점을 고려하면 무자녀 비중 확대는 계속되는 모습이다.

반면 자녀 3명 이상 비중은 1970~1974년 50.6%를 마지막으로 급격히 감소해 2010~2015년에는 0.9%로 쪼그라들었다.

또 여성이 혼인신고하고서 첫 출산을 하기 까지 걸리는 기간을 의미하는 첫 출산간격은 1990년대 후반에서 2000년대 전반까지 완만하게 증가했다. 1975~1979년 1.5년이었던 첫 출산간격은 2000~2004년 1.84년까지 늘어났다.

이후 2010~2015년에는 1.26년으로 급격히 감소했는데 당시 초혼 연령은 29.4세로 역대 최고를 기록해 만혼으로 첫 출산간격이 단축되는 ‘따라잡기 효과(Catch-up effect)’ 때문이라는 것이 통계청의 분석이다.

아울러 첫째 출산에서 막내 출산까지 소요기간을 의미하는 출산 기간도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

1950~1954년 혼인코호트의 출산기간은 11.4년이었지만 1970~1974년 4.9년으로 단축됐고 △2005~2009년 3.2년 △2010~2015년 2.2년 등으로 더 떨어졌다. 이는 그만큼 다자녀가 줄어든다는 의미다.

통계청 관계자는 “무자녀 비중이 증가하고 기대 자녀 수도 줄어드는 등 저출산의 덫에 빠진 양상”이라며 “취업은 어렵고 경제활동은 쉽지 않으며 늦게 결혼하는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그래픽=연합뉴스)
(그래픽=연합뉴스)

[신아일보] 김성욱 기자 dd921208@shinailbo.co.kr